Kotlin의 생성자는 주생성자(Primary Constructor)와 부생성자(Secondary Constructor)로 구분된다.
1. 주생성자
Java에서는 모든 생성자는 method처럼 선언을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Kotlin에서는 그런 귀찮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
주생성자는 class 선언하면서 생성자를 동시에 정의할 수 있는 기법이다.
방법은 class 이름 옆에 생성자의 parameter를 받고, Property 선언시 해당 값을 이용하여 초기화 해주면 된다.
class Animal(_nLeg:Int, _color:String) {
val nLeg:Int = _nLeg
val color:String = _color
var name:String = "Tom"
fun eat(something:String) {
println("Eat $something")
}
fun cry() {
println("Cry!!!")
}
}
이제 Class를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주생성자의 인자를 넘겨주어야 한다.
val myAnimal = Animal(4, "yellow")
자 이제 귀찮은 Java 개발자를 위해 한번더 생략!
생성자의 인자도 선언해줘야 하고 Property도 선언해줘야 하는데, 귀찮으니 한방에 쓰자!!!
생성자의 인자를 적어줄때 val, var을 적으면, 해당 인자가 바로 class의 property가 된다.
이 글을 보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val은 불변, var은 변화가 가능한 Property를 위미한다.
class Animal(val nLeg:Int, val color:String) {
var name:String = "Tom"
fun eat(something:String) {
println("Eat $something")
}
fun cry() {
println("Cry!!!")
}
}
예제에서 보다시피 생성자를 통해서 초기화 하기 싫은 변수는 주생성자의 인자로 넣지 않고 따로 선언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개발을 하다보면 생성자에서 변수 초기화만 하지 않고 뭔가 로직을 넣어야 하는 상황이 오는데,
주생성자가 Class이름과 함께 정의를 하게된다면...
로직은 어떻게 넣을까???
Kotlin에서는 주생성자의 추가 로직을 위해 init이라고 하는 키워드를 통해 초기화 블록을 제공한다.
class Animal(val nLeg:Int, val color:String) {
var name:String = "Tom"
init {
println("=== Primary Init block ===")
println("nLeg: $nLeg, color: $color, name: $name")
// Do something!!
}
fun eat(something:String) {
println("Eat $something")
}
fun cry() {
println("Cry!!!")
}
}
2. 부생성자
부생성자는 Java의 생성자와 유사하다. 여러개의 생성자를 만들수 있고 생성자에서 어떤 동작을 할지 정의를 해주어야 한다. 부 생성자임을 알려주는 키워드는 constructor
단, 부생성자는 반드시 주생성자와 같이 사용되어야 한다. 부생성자는 주생성자를 호출한다.
class Animal(val nLeg:Int, val color:String) {
var name:String = "Tom"
init {
println("=== Primary Init block ===")
println("nLeg: $nLeg, color: $color, name: $name")
// Do something!!
}
constructor(_nLeg:Int, _color:String, _name:String) : this(_nLeg, _color) {
println("=== Secondary constructor start ===")
this.name = _name
println("=== Secondary constructor end ===")
}
fun eat(something:String) {
println("Eat $something")
}
fun cry() {
println("Cry!!!")
}
}
부생성자 선언 뒤에 : this()를 통해서 주생성자의 인자를 전달해주어야 한다.
부생성자를 호출하게 되면 주생성자와 초기화 블록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
val myAnimal = Animal(4, "yellow", "Smith")
=== Primary Init block === nLeg: 4, color: yellow, name: Tom === Secondary constructor start === === Secondary constructor end === |
실행 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주생성자 -> 초기화 블록 -> 부생성자 순서로 호출된다.
포스팅에 사용된 소스는 아래의 github에서 확인 가능하다.
'MEDIUMTEX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에서 merge commit을 revert 하는 방법 (0) | 2024.10.01 |
---|---|
Gson을 이용한 직렬화/역직렬화 (toJson / fromJson) (0) | 2024.09.29 |
git에서 다른 repository에 있는 commit을 cherry-pick 해오는 방법 (0) | 2024.09.28 |
Kotlin class 선언 방법 (0) | 2024.09.21 |
Gson에서 Json 구성 요소 5가지 (JsonElemnt/JsonObject/JsonPrimitive/JsonArray/JsonNull) (0) | 2024.09.21 |